경제 / / 2023. 2. 24. 20:13

미국 기준 금리 추이에 따른 투자방향

반응형

미국의 기준금리는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이하 Fed)가 결정하며, 주로 경제 지표와 인플레이션, 실업률 등을 고려하여 조절됩니다. 

 

2023년 2월 기준으로 기준금리 4.75% (2023.02.02 한국기준) 으로 한국 기준금리 3.50%와 비교하여 한·미 금리 격차는 1.25%포인트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미국 기준 금리 추이를 살펴보기전에 2022년 6월 기준으로 미국의 기준금리가 첫 자이언트 스탭 단행 (기준금리 1.75%) 수준이었으며, Fed는 2022년 6월 회의에서 0.25% 인상하였습니다. 이전에는 2022년 말까지 금리 인상을 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인플레이션 압력과 경제 성장세가 높아지면서 금리 인상이 가속화되었습니다.

(2022년 12월  50bp 인상 - 기준금리 4.5% 2022년 한 해 동안 총 425bp 인상)

 

 

  • 미국 기준 금리 추이

    미국의 기준금리 전망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미국의 경제 성장세와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면서 기준금리가 조금씩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2023년 중반까지 Fed는 적극적인 금리 인상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미국의 경제 성장이 불안정할 경우, 금리 인하를 시도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추이는 매우 복잡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문제이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은 어렵습니다. 하지만, 경제 지표와 Fed의 발표를 주시하며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금리 변동에 따른 투자 전략을 구체적으로 수립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미국 기준 금리 추이 예상을 통한 투자 방향

 

미국의 기준금리가 상승하면서 금리 수익률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주식보다는 채권 등 안정적인 투자에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기준금리 상승이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에 민감한 자산의 비중을 줄이는 것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또한, 미국의 기준금리가 상승하면 미국 달러의 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미국 달러화로 인한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전략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다만, 미국 달러화의 상승은 수출업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미국 달러화 투자의 리스크를 잘 파악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라, 금융 시장에서는 채권 수익률 상승으로 인한 채권 가격 하락과 주식 시장에서는 기업의 적자를 예상하여 대규모 하락세가 예상되었습니다. 따라서, 미국 금리 변동에 따라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경우에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안정적인 투자 전략을 구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래를 예견하여 투자를 한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인 것은 분명합니다. 본 포스팅은 그저 단순한 참고사항으로만 읽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건 스탠리 하는 일  (0) 2023.02.27
jp모건 모건스탠리 차이  (0) 2023.02.27
국가 부도 순위 나라 정리  (0) 2023.02.27
미국 금리 전망  (0) 2023.02.24
물가 상승 금리인상 관계 설명  (0) 2023.02.22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